이번에는 취재기자와 함께 또다시 예고된 '극한 호우'의 원인과 전망,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김민경 기상·재난 전문기자 스튜디오에 나와 있습니다. 어서 오세요. 불과 사흘 전에도 큰비가 내렸었는데 또다시 폭우가 내렸거든요. 계속해서 반복되는 것 같아요. <br /> <br />[기자] <br />네, 지난번에는 태풍이 남긴 비구름이 남부에 많은 비를 뿌렸다면, 이번에는 북쪽에서 내려온 차고 건조한 공기가 주요 원인입니다. 비구름의 이동을 볼 수 있는 레이더 화면 준비했습니다. 화면 보실까요? 당초 수도권에는 출근 시간대에 강한 비가 예상됐는데요, 찬 공기의 세기와 강도가 다소 약하게 진행이 되면서 지금은 속도가 낮아지면서 늦게 남하했습니다. <br /> <br />지금은 이렇게 수도권과 강원을 중심으로남북으로 좁고 동서로 긴 띠 모양의 비구름대가 위치해 있는데요. 이 비구름대의 영향으로 이른 아침에 강원도 철원에는 시간당 51. 5mm의 극한 호우가, 오후 1시쯤에는 경기도 포천에도 1시간에 49mm의 폭우가 쏟아지기도 했습니다. 북쪽에서 내려오는 차고 건조한 공기와 남쪽에서 올라오는 뜨겁고 습한 공기, 그러니까 성질이 다른 두 공기가 부딪치면서 비구름이 발달한 겁니다. <br /> <br /> <br />조금 전에 언급을 해 주셨는데 북쪽에서 차고 건조한 공기가 내려오고 있다고 하셨잖아요. 갑자기 그런 부분이 발생한 이유는 뭡니까? <br /> <br />[기자] <br />우리나라 북쪽 상공에 정체하고 있는 저기압이 톱니바퀴 돌듯이 회전하면서 차고 건조한 공기를 계속 내려보내기 때문인데요. 일기도 화면 보실까요? 대기 상층 5km 부근 일기도입니다. 일본 홋카이도 서쪽 부근에 보이는 L자 표시가 저기압인데요. 저기압이 이렇게 시계반대방향으로 계속해서 회전하게 되면서 저기압의 후면을 따라 차고 건조한 공기가 우리나라로 내려오는 건데요. 정오 무렵, 기상청의 분석 결과 찬 공기가 백령도 부근까지 내려온 상태인데, 이 공기가 더 강해지면서 비구름을 남쪽으로 밀어낼 것으로 보입니다. <br /> <br /> <br />걱정되는 부분인데 오늘 밤은 남부에 강한 비가 집중된다면서요? <br /> <br />[기자] <br />그렇습니다. 앞서 설명 드렸듯이 차고 건조한 공기가 점차 강해지면서 비구름을 남쪽으로 밀어내겠는데요. 이 비구름이 밤사이에는 남부지방에 강하게 영향을 줄 것으로 보입니다. 다만, 강수 시기에는 변동성이 조금 있는데요. 일기도 화면 다시 보겠습니다. 현재 우리나라는 강하게 ... (중략)<br /><br />YTN 김민경 (kimmink@ytn.co.kr)<br /><br />▶ 기사 원문 : https://www.ytn.co.kr/_ln/0108_202508061527544204<br />▶ 제보 안내 : http://goo.gl/gEvsAL, 모바일앱, social@ytn.co.kr, #2424<br /><br />▣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 http://goo.gl/oXJWJs<br /><br />[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 Korea News Channel YTN ]